-
문자열을 숫자로 (Integer) parseInt(String) VS valueOf(String)
문자열 -> 숫자 변환?? Java를 사용하다보면, 우리는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시켜야 하는 상황을 자주 마주합니다. 그럼 어떻게 하시나요? Java는 문자열->숫자 변환을 위해 2가지의 메소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바로 Integer.valueOf 와 Integer.parseInt 입니다. String S = "123"; int A = Integer.parseInt(S); Integer B = Integer.valueOf(S); 코드에서 본 것처럼, 언뜻 같은 기능을 하는 2개의 메소드의 차이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미 힌트를 보여준 것 같지만,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Integer.parseInt(String) Java API 정의 public static int parseInt(String ..
2022.01.17
-
[백준 Gold 4] 4179 불! - Java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4179 4179번: 불! 입력의 첫째 줄에는 공백으로 구분된 두 정수 R과 C가 주어진다. 단, 1 ≤ R, C ≤ 1000 이다. R은 미로 행의 개수, C는 열의 개수이다. 다음 입력으로 R줄동안 각각의 미로 행이 주어진다. 각각의 문 www.acmicpc.net 접근 과정 : https://rays-space.tistory.com/69 [백준 Gold 4] 5427 불 - Java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5427 5427번: 불 상근이는 빈 공간과 벽으로 이루어진 건물에 갇혀있다. 건물의 일부에는 불이 났고, 상근이는 출구를 향해 뛰고 있다. 매 초마다, 불은 동서남북 rays-sp..
2022.01.12
-
트랜잭션이 왜 필요할까?
1. 트랜잭션이 무엇인가요? 트랜잭션이란 DB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하나의 논리적인 작업에 포함된 연산들의 집합입니다. DB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작업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작업으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은행계좌에서 금액을 이체하려 한다면, 1)A계좌의 잔액을 조회 2)A계좌의 잔액에서 이체할 금액을 빼고 저장 3)B계좌의 잔액을 조회 4)B계좌에 이제금액을 더한 뒤 저장 까지 몇가지의 과정들이 필요하고 이를 모두 합쳐 계좌 이체라는 하나의 작업단위를 구성합니다. 이렇듯 DB 상태 변화를 위한 작업에 포함된 과정(연산)의 집합을 트랜잭션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트랜잭션의 모든 과정의 수행 여부에 따라 Commit되거나 Rollback 됩니다.2. 트랜잭션의 성질에 대해 말해주세요. 트랜잭션의 성질은..
2021.05.17
-
DB를 왜 사용할까?
1. DB와 DBMS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DB는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통합하여 저장되고 관리, 운영되는 데이터들의 집합입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들의 중복을 제거하고, 구조화하여 효율적인 데이터 처리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DB는 별도의 미들웨어에 의해 관리가 되는데, 이를 DBMS라고 합니다. DBMS는 사용자과 DB 사이에서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하고 DB를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2. DB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DB의 특징은 크게 5가지로 말할 수 있습니다. - 실시간 접근 : 사용자의 요청을 즉시 처리하여 응답 - 계속적인 진화 : 데이터의 삽입, 갱신, 삭제를 통해 최신 데이터를 유지 - 동시 공유 :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데이터를 사용 가능 - 내용에 의한 참조 : ..
2021.05.17